Off The Record – #1 내 모든것 – 주체적 레코드 소비는 멀리 있지 않다

수집은 상당히 개인적인 영역입니다. 레코드도 마찬가지죠. 가게 운영자나 디제이가 아닌 이상, 레코드 수집은 내 공간에서 즐기는 취미에 가깝습니다. 보기만 해도 뿌듯하고, 들으면 더 기분 좋은 그런 일이죠. ‘정방형의 레코드야말로 SNS에 자랑하기 좋은 제일 값싸고 손쉬운 취미’라는 의견도 있지만, 글쎄요.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이야기라 생각합니다. 레코드를 모아 보면 압니다. 이게 얼마나 무겁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지, 이사 대혼란의 원흉이자 무분별한 소비의 주범이 되는지 말이죠.

싸니까 자꾸 사다 보면 비싼 게 눈에 들어오고, 옷처럼 사이즈가 안 맞을 일도 없으니 일단 손쉽게 사고, 얇고 만만해 보여 책장에 꽂다 급기야 발로 차고 다니기 시작하면 ‘현타’가 옵니다. ‘나 이거 얼마나 듣지?’ 본질적으로 레코드는 들으려고 존재하는 물건이란 사실엔 변함이 없으니까요. 자랑도 하루 이틀, 잠깐 관심을 가졌다 시들하는 걸 우리는 애호나 취미라 부르지 않습니다.

그런데 즐겁자고 하는 일이잖아요. 실로 그 어떤 취미도 웬만해선 매 순간 100퍼센트 만족감을 주진 않습니다. 꾸준히 관리하고 같이 성장할 때 비로소 즐거운 것이죠. 레코드는 가만히 둔다고 녹슬거나 제 기능을 멈추는 물건은 아니지만, 짐짝이 되어선 의미가 없을 테고요. 겨우내 식물에 물을 주며 봄의 새잎을 기다리듯, 재미를 찾기 위해 뭔가 가꿔나갈 필요가 있겠죠. 이 지점이 ‘컬렉션’의 시작이 아닌가 싶습니다. 수집이란 말의 사전적 뜻(표준국어대사전 참조)은 ‘취미나 연구를 위해 여러 가지 물건이나 재료를 찾아 모음’입니다. 그냥 사들이는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죠. 처음의 설렘이 끝난 뒤, 이 흥미로운 혹은 흥미로울 것이 분명한 취미를 다시 ‘보기만 해도 뿌듯하고 들으면 더 기분 좋은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레코드 구입에 기준을 세워보는 거죠. 애정만큼 관점과 의견을 키우고, 꼭 금전적 개념이 아니더라도 가치를 매기게 됩니다. 이왕이면 맘에 드는 컬렉션을 완성하고 싶으니까요. 그런데 부정할 수 없는 사실로, 어떤 종목이든 수집가들이 공통적으로 흥미로워하는 건 비슷합니다. 귀한 것. 귀한 건 대개 비싸죠. 요즘처럼 전 세계 거의 모든 레코드에 가격표가 달린 상황에서, 주로 성배라 불리는 레코드에 대한 유혹은 더욱 강력합니다. 물론 귀한 레코드를 모으는 것이 수집의 목적이 될 수 있습니다. 그 노력과 애정과 비용을 존중합니다. 단, 모든 귀한 레코드가 그만큼 좋은 음악을 담고 있는지 생각해보면, 꼭 그런 건 아닙니다. 유명해서 유명한 사람이 있듯, 귀해서 귀한 레코드가 있는 셈이죠.

자연스러운 일임은 분명합니다. 공급이 부족한 것에 끌리는 마음은요. 다만 레코드 수집은 RPG 게임 아이템처럼 귀한 물건이 꼭 승리를 불러오는 취미라 보긴 어렵습니다. 음악을 좋아해서 레코드를 모으고 내 취향의 레코드를 발견하기 위해 레코드 가게에 갔는데, 어쩌면 나도 모르게 남이 비싸게 만든 음반, 타인의 기준을 따르는 경우가 벌어지곤 하는 거죠.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레코드 수집은 개인적 영역의 취미입니다. 그러니 나의 기준을 마련하고 그것을 좇을 때의 기쁨이야말로 지속가능한 즐거움이라는, 취미의 기본 전제에 가장 이상적으로 부합합니다. 경쟁이나 속상할 일도 별로 없겠죠. 레코드란 물성이 좋아 수집을 시작할 수도 있겠지만, 그렇게 하기엔 놓치는 가치가 너무 큽니다. 음악 감상이라는 본질적 경험 말이죠. 세계적 수집가로 유명한 한 디제이에게 무척 인상적인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의 보일러 룸 영상을 보면 역시 대단합니다. 이런 음악이 어디 있었나, 싶죠. 사람들은 추측했을 겁니다. 이름난 수집가니까 엄청나게 귀한 음반을 틀었을 거라고. 그런데 그는 세간의 이목이 쏠리는 이 이벤트에서 아주 값싼 ‘달러 빈’ 레코드만 틀었다고 합니다. 정확한 의도를 묻진 않았지만, 그러한 콘셉트 자체가 주체적 디제이이자 수집가의 메시지를 이미 포함하고 있는 거겠죠.

‘Beard In Dust’라는 이름의 프로듀서의 음반을 즐겨 듣습니다. 레코드 가게에서 박스에 코를 박고 뒤지다 보면 턱수염에 먼지가 잔뜩 묻어서 그런 이름을 지었다고 하네요. 모르긴 몰라도 꼼꼼히 크레딧을 살펴보고, 뒷면 마지막 트랙까지 하나씩 열심히 확인했을 거라 짐작합니다. 그가 발표하는 (기존 곡) 에디트의 선곡이 무척 독창적이기 때문이죠. ‘디깅’이란 표현은 특히 여러 수집 중에서도 레코드에 관해 자주 쓰입니다. 스스로 파내는 것을 뜻할 테고요. 레코드 가게에서 하루를 보내는 건 재미있는 한편 꽤 고단한 일이기도 합니다. 다만, 진짜 내 것을 찾는 힘이라면 이겨낼 수 있을 것입니다. 모두가 그럴 이유는 없지만, 자신을 컬렉터로 규정한다면 한 번쯤 고민해볼 만한 태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레코드는 규격에 따라 다 똑같이 생겼고, 그래서 내용물에 더 호기심이 갑니다. 작은 차이를 동시에 알아보는 사람, 그 특별함을 공유하는 사이를 우리는 친구라 부릅니다. 더 많은 친구가 생겼으면 합니다.


Text │Jesse You
Illustration │ Gill Barto

*해당 에세이는 지난 VISLA 매거진 16호에 실렸습니다. VISLA 매거진은 VISLA 스토어에서 구매하거나 지정 배포처에서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RECOMMENDED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