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중음악 흐름도 1편 – 뽕짝과 모타운

ljh-뽕짝과모타운

한국에서 서양음악의 혼입, 그리고 토착화는 여타 제 3세계 국가들과는 조금 다른 방향으로, 철저하게 일본이라는 식민 종주국의 그늘서 발전해왔다. 다시 말해, 일본은 이 땅에 당대의 최신 서양 음악들이 들어오는 유일한 통로였으며, 그 당시 한국에서 접할 수 있는 ‘현대 음악’이라 불리는 것들은 이미 모두 다 일본식의 토착화 과정이 끝난 것들뿐이었다. 재즈(Jazz)가 현대음악의 진화 그 자체를 한 단어로 축약한 기호라면, 이러한 환경에서 한국의 ‘재즈’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전개된 것이다.

서양의 프레임을 통해 아프리카 흑인 민속 음악을 해석하려는 시도는 곧 블루스(Blues)를 낳았고, 보싸(Bossa)는 같은 방식으로 남미에 뿌리를 둔 음악이라 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동양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동양의 선율, 아니 일본의 선율을 서양의 기보법에 따라 해석하고 녹여내는 시도 역시 필연적으로 진행되었는데, 그 과정을 간략히 한 문장으로 줄이자면, 악기 계통적 구조로도, 선율 계통적 구조로도, 이른바 ‘절충’이 이루어졌다. 서양의 것이 아닌 소리를 서양의 프레임으로 편입시키는 시도, 이 제국주의적 방식이 고스란히 묻어있는 폭력적인 시도에 절충은 필수 불가결한 요소였다. 일본의 선율은 서구의 4음과 7음이 생략된 단음계로 절충되었고, 그 리듬은 2~30년대 2비트 스윙-폭스트롯트의 그루브와는 조금 다른 형태의 덜 역동적인 리듬으로 변모했다. 이른바 ‘엔까(えんか)’의 등장이다.

미소라 히바리(Misora Hibari) – “川の流れのように(흐르는 강물처럼)”

한국의 재즈를 논하기 위해선 일본의 ‘엔까’가 이 땅에 토착화되는 과정을 이야기해야 한다. 이 땅에서도 재즈의 토착화와 그를 위한 절충이 이루어졌다. 물론 우리의 레퍼런스가 된 ‘재즈’는 엔까였고 그 절충의 결과물, ‘뽕짝’이라는 장르는 이 땅에 이렇게 등장하게 된 것이다. 믿기지 않겠지만, 한국 최초의 ‘재즈’는 뽕짝이었다.

뽕짝은 코드, 음계, 리듬의 상당 부분을 엔까와 공유하는 하위 장르에 가까웠고, 대중음악계의 레퍼런스는 수십 년간 일본이 될 수밖에 없었다. 한국 땅에서는 광복되고 나서야 미군기지를 중심으로 본토의 음악이 직접 소개되며, 신중현과 같은 블루스 기반의 창작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미국의 영향력 아래 글로벌 ‘재즈’들이 이 땅으로 쏟아져 들어와 유재하의 등장을 기점으로 대중음악 전반에서 묻어나오던 왜색은 점점 ​희미해져 갔지만, 뽕짝은 아직도 한국 대중음악에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인의 무의식적인 그루브와 음악적 선호도엔 아직도 ‘뽕끼’가 충만하다. 비록 시간이 흘러 본토의 ‘재즈’나 일본에서 건너온 ‘재즈’나 이 땅의 ‘뽕짝’이나 그 구분이 점점 희미해지며 현재는 한국 대중음악에 유전자를 남긴 상태로 그 본래 형태나 영향력을 상실해갔지만, 많은 사람은 이 땅의 재즈가 무엇이었는가를 아직도 간과하고 있다. DJ Soulscape가 나타나기 전까지 이 땅의 재즈는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한 그저 ‘뽕짝’이었으니까.

김시스터즈 – “김치 깍두기”

두 가지 버전으로 들을 수 있는 김시스터즈의 “김치 깍두기”에는 서로 다른 땅에 뿌리내린 ‘재즈’가 어떤 방식으로 진화했는지, 미국의 재즈와 한국-일본의 재즈의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 시기는 뽕짝이 아직 엔까의 영향력 아래 있던 시기였기에 한국-일본의 재즈를 구분하는 것이 거의 무의미한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엔까와는 다른 한국만의 ‘뽕끼’는 이 음악에서 고스란히 전해진다. 슈프림스(The Supremes)보다 더 먼저​ 모타운에서 노래를 불렀던 선구자들의 DNA에도 박혀있던 그 ‘뽕끼’ 말이다. ‘뽕끼’와 일본 문화에 반감을 품은 이들이 무엇을 말하든 간에, 한국 대중음악 흐름도는 이 지점에서 출발한다고 볼 수 있겠다. 우리에겐 쿨 재즈도, 뉴에이지도, 보사노바도 아니고 그저 ‘뽕짝’이 있을 따름이다. 이름만 들어도 촌스럽고, 경박하며, 고루하기까지 한 ‘뽕’은 이 땅의 재즈로서 수십 년의 한국 대중음악사를 관통하는 뿌리였다. 촌스러움이 빈티지가 되는 순간은 그 대상에 어떤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때다. 뽕은 한국 대중음악사를 이야기할 때, 가장 먼저 언급할 만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재헌
사회잉여이자 잉여 생산물에 관심있는 사람.

RECOMMENDED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