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젊은 장정들의 우울한 초상을 담은 사진집, 강재구 포토그라피

팬데믹 후 2년 만에 되찾은 일상에 좋지 않은 게 뭐가 있겠냐마는 딱 한 가지, 삼복더위 이른 아침부터 예비군 훈련장으로 발걸음만은 그리 달갑지 않을 터. 칙칙함이라면 둘째가라면 서러울 국방색 비주얼에 습한 날씨까지 더해지니, 보는 이조차 적잖이 마음이 심란하다. 의무라는 명목하에 짐처럼 지워진 지긋지긋한 올가미를 언제쯤 벗어던질 수 있을까.  

사진작가 강재구는 한국 남성 대부분이 통과의례처럼 경험하는 징병 문화를 10여 년에 걸쳐 담아왔다. 사진병으로 복무하던 시절부터 줄곧 군인들을 포착해 온 그의 사진에는 획일적이고 집단적인 분위기 속 새로운 ‘남성성’을 부여받은 젊은 청년의 일대기가 그대로 녹아난다. 입영 전의 두려움과 긴장이 잔뜩 서린 ‘12mm’부터 초라한 군용 나시가 안쓰러운 이등병(Private)’과 이제는 군복이 제법 잘 어울리는 ‘사병증명(Portrait Shot)’ 그리고 사복과 군복의 믹스매치로 특유의 껄렁껄렁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예비역(Reserve Soldier)’까지. 사진집 ‘강재구 포토그라피(Kang Jae Gu Photography)’는 결코 거부할 수 없는 운명과 맞닥뜨린 대한민국 청춘의 씁쓸함을 있는 그대로 전한다.

‘강재구 포토그라피’의 묘미는 뭐니뭐니 해도 시간의 흐름과 함께한 이미지 병치에 있다. 젊은 청춘이 마지막 자존심처럼 남겨둔 머리 길이, ‘12mm’ 속 이재혁 군을 보라(좌측에서 세 번째). 매서운 눈매로 카메라를 쏘아보는 모습이 어딘가 불량스럽기도 하지만, 그가 부동 차렷 자세 익숙해진 어리숙한 이등병이 되기까지는 불과 채 한달이 걸리지 않았다. 옆에서 친구의 입대를 즐겁게 바라보던 친구들 역시 운명의 수레바퀴는 피할 수 없기는 마찬가지. 

강재구는 피사체에 그 어떤 요구도 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그의 사진은 자연스럽지만 동시에 굳어있다. 이것이 군대라는 훈육 집단의 효과일까. 마치 누가 시키기라도 한 것 마냥 하나같이 두 눈을 부릅뜨고 두 주먹 불끈쥔 ‘이등병’의 모습은 늠름하기 보다 오히려 안쓰러울 지경이다. 불안, 초조, 긴장 같은 지극히 개인적 감정을 한국의 수많은 젊은 장정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집단적 히스테리가 아니고서야 무엇이겠는가. 그러니 군대 썰을 평생의 안줏거리로 삼는 누군가가 있다면 비난의 활시위를 조금만 늦춰보는 건 어떨까. 하루아침에 내무반 평상에서 눈을 뜨게 되는 건 생각보다 쉽지 않은 일이니 말이다. 대한민국 젊은 장정들의 우울한 초상을 담은 ‘강재구 포토그라피(Kang Jae Gu Photography)’는 현재 해당 링크를 통해 구매할 수 있다. 


이미지 출처 |  Virtual Gallery 

RECOMMENDED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