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과 미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디지털 예술, MIDI Art

예술가들이 비교적 수월하게 자신의 상상력을 현실화할 수 있는 시대다. 기술의 눈부신 발전 덕분에 각종 소프트웨어와 장비가 그들의 작업을 보조하고 있기 때문. 하지만 대부분이 이런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반면, 몇몇 예술가들은 모두가 사용하는 방식에 만족하지 못하는 듯하다. 각 분야의 한계를 뛰어넘어 끝없이 예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으니 말이다.

해외에서 작년부터 큰 관심을 얻은 미디아트(MIDI Art)가 바로 그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미디아트는 말 그대로 컴퓨터 작곡 인터페이스인 미디를 이용한 예술 장르로, 프로그램상의 블록들을 사용하여 특정 형상과 음을 만들어내는 작업이다.

 

미디아트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작업은 2007년 일본의 동영상 사이트 ‘니코니코 동화(ニコニコ動画)’에서 시작된 블랙 미디(Black MIDI), 혹은 ‘검은 악보’다. 최초에는 ‘무리 악보 시리즈’라고 불렸던 이 시리즈는 실제 연주가 불가능하게 만들어진 곡들로, 음표로 검게 채워진 악보 영상과 미디 파일이 함께 업로드되곤 했다. 특유의 무지막지함 덕분에 블랙 미디 콘텐츠들은 짧은 시간에 중국과 한국 등 주변국으로 퍼져나갔고, 2011년 마침내 ‘kakakakaito 1998’이라는 유튜버를 통해 서양권에 수출되었다.

블랙 미디는 서양 국가에서도 빠르게 퍼져나갔다. 하지만 치솟는 인기만큼 비판도 잇따랐으니, 블랙 미디가 단순한 악보의 공간 채우기와 컴퓨터 성능 자랑에만 목적을 둔 작업이라는 평이 지배적이었다. 이 때문에 블랙 미디는 음악으로서 크게 인정받지 못했지만, 최초로 미디를 통해 시각적인 표현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나름의 의의를 남겼다.

그렇게 한순간에 블랙 미디는 소수의 마니아 사이에서 연명하는 신세가 되었지만, 대중의 시선이 닿지 않는 음지에서 계속된 발전이 이루어졌다. 2012년, 유튜브 계정 해리 노트 블록 스튜디오 (Harry Note Block Studio)의 ‘신테시아 배드 애플(Synthesia bad apple)’ 영상에서 볼 수 있듯이 블랙 미디에도 사물의 모습을 한 형상들이 등장하게 되었고, 2017년에 이르러 드디어 지금의 모습을 한 미디아트가 등장하게 되었다.

 

지금의 미디아트는 2017년 2월 9일, 음악가 사반트(Savant)가 페이스북에 올린 영상이 시초라는 설이 지배적이다. 영상 속 미디 블록들은 블랙 미디와 달리 뚜렷한 새의 형상을 띄고 있으며, 짧지만 음악의 형식과 역할을 모두 갖추고 있다. 이후 이에 영감을 받은 유튜버 앤드루 황(ANDREW HUANG)의 유니콘 미디아트가 무려 350만 뷰를 달성하며 미디아트는 대중들에게 퍼져 나갔고, 작년 서브컬처 신(Scene)을 뜨겁게 달군 트렌드로 부상했다.

현재 유튜브에서 미디아트를 검색하면 슈렉(Shrek)부터 나이키(Nike)로고까지 다양한 형태의 미디아트를 감상할 수 있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미디아트가 아직 한국 크리에이터의 눈에 닿지 않았다는 점. 킴맹(kimmaeng)이라는 이름의 한국인 유튜버가 이따금 미디아트 영상을 업로드하긴 하지만, 이에 대한 관심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한국인들의 뛰어난 손재주와 집중력이 미디아트에 접목된다면 조만간 전 세계 유튜버들을 놀라게 할 작품이 탄생하게 되지 않을까.

RECOMMENDED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