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를 빙자한 무목적 시리즈, “Fishing with John”

“Life is so beautiful. Every Breath… Everyday of our lives… Ahh… Fishing.”

보통의 낚시 프로그램이라 하면, 우리네 아버지들이 따분한 일요일 오후 반쯤 감긴 눈으로 시청하던 일종의 교양 프로그램이 가장 먼저 떠오를 테다. 온갖 진귀한 바다 생물과 장비에 빠삭한 전문 낚시꾼들이 제아무리 입담을 발휘한다손 치더라도 낚시의 정수는 누가 뭐래도 ‘기다림’ 아니겠나. 이들의 하염없는 기다림 만큼이나 새어 나오는 하품을 참을 수 없는 것이 바로 낚시 시리즈일 것.

하지만 1998년 미국의 방송사 IFC와 브라보(Bravo)를 통해 방영된 TV 시리즈 “Fishing with John”은 그 골 때리는 콘셉트로 기존 낚시 프로그램의 개념을 완전히 부숴버렸다. 무목적, 이것이야말로 이 시리즈를 설명하는 가장 좋은 단어다. 이들에게는 멋진 생선을 낚아야 한다는 혹은 진솔한 대화로 게스트의 내면의 소리를 들어야 한다는 직업의식도 없다. 마치 방송이야 될 대로 대라는 듯 존과 게스트가 세계 각지의 이국적 낚시 스팟을 돌며 농담이나 따먹는다. 방송국, 그러니까 자본의 때가 묻지 않은 대게의 콘텐츠가 그러하듯, “Fishing with John” 역시 컬트 다큐멘터리로 불리며 수많은 팬들을 만들어 냈다. 편당 30분이 채 되지 않는 분량에 총 6회라는 짧은 에피소드로 막을 내렸지만 “Fishing with John”은 현재까지 유튜브에서 끊임없이 재생되며 그 명성을 이어나가고 있다.   

잠깐, 여기서 대체 ‘존(John)’이 누구란 말인가. 존이 가리키는 남자는 다름 아닌 존 루리(John Lurie)다. 재즈 밴드 라운지 리저드(The Lounge Lizrads)의 창단 멤버이자 색소포니스트, 짐 자무쉬(Jim Jarmusch)의 영화 “천국보다 낯선(Stranger Than Paradise)”, “다운 바이 로(Down By Law)” 의 무표정 배우, 온갖 잡다한 영상의 제작자. 그리고 7, 80년대 뉴욕의 최고 멋쟁이. “Fishing with John”은 존 루리의 전방위적 예술적 소양이 발휘된 결정체라 할 수 있다. 음악, 카메라, 편집, 내레이션 대본 작성 등 시리즈 전체의 디렉팅과 더불어 심지어는 새벽 5시에 일어나 떡밥을 준비하는 일까지 모두 그의 세심한 손길로 완성됐다. 또한 모큐멘터리와 같이 실제 연기가 들어간 부분 역시 다수 존재하기에 배우로서의 자아 역시 발현된 셈.

그런 존이었기에 6회 동안의 게스트도 호화롭기 그지없다. 1화 게스트 짐 자무쉬를 시작으로, “다운 바이 로”에서 호흡을 맞춘 톰 웨이츠(Tom Waits), 동료 배우 맷 딜런(Matt Dilan)과 윌렘 데포(Willem Dafoe) 그리고 데니스 호퍼(Dennis Hopper)까지. 일본의 한 통신업체의 지원을 받아 제작된 시리즈는 제작비 절감을 위해 모든 것을 존 루리가 도맡았다. 그런 만큼 모든 것이 그의 마음대로였다. 그렇기에 바다에서 고기를 낚아야 할 프로그램의 내용이 ‘산’으로 가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마치 한 편의 다큐멘터리처럼 보이는 “Fishing with John”은 진짜와 가짜가 섞인, 존 루리가 짜 놓은 큰 판 안에서 움직였다. 그렇기에 관객은 이들이 실제 고기를 낚은 것인지, 혹은 그들이 처한 난관이 현실인지에 관해 끝없는 시험에 빠진다. 물론 이를 판별해 내고 후의 인터뷰를 탐닉하며 시리즈 내막을 속속들이 파헤치는 것 역시 “Fishing with John”을 즐기는 방법일 테지만, 존 루리가 치밀한 설계로 바다 위에 펼쳐 놓은 결과물을 아무 생각 없이 편히 누워 시청하는 것만 한 감상법도 없을 테다. 이곳에서는 에피소드 일부와 시리즈를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하니 “Fishing with John” 혹은 존 루리라는 인간에 관심이 인다면 그가 던져 놓은 덫을 무방비로 물어봐도 좋을 것.

Episode 1 – Fishing with John&Jim Jarmusch

두 사람이 한 앵글에 잡혔다는 사실만으로 영상은 거진 완성됐다. 낚시를 떠나기 위해 존이 운전하는 차에 오르는 짐 자무쉬의 모습은 마치 그의 로드 무비 한 편을 연상시킨다(특히, 캡 모자를 쓴 짐의 모습은 “레닌그라드카우보이 미국에 가다”에 카메오로 출연한 그를 떠올리게 한다). 이내 최고의 낚시 영화로 “죠스”를 뽑은 두 사람은 새벽부터 ‘블루 샤크’를 잡기 위한 여정에 오른다.

존이 모는 차를 타고 몬탁의 선착장에 도착한 두 사람. 상어를 잡기 위해서는 미끼로 쓸 ‘블루 피쉬’를 잡아야 하고, 그 후 상어 서식지로 또 3시간여 배를 타고 이동해야 하는 고된 여정이다. 짐은 “Why am I here”라는 말을 되뇐다. 고기를 잡아도 그의 표정에 큰 변화는 없다. 기억하자, “Fishing with John”은 낚시 다큐멘터리가 아니다. 존은 바다에서 창꼬치가 튀어 올라 한 남자를 가격한 이야기를, 짐은 돌고래가 한 여성의 암을 발견한 이야기를 망망대해 위에서 실없이 늘어놓는다.

그리고 마침내 짐의 낚싯대에서 신호가 온다. 크고 강렬한 움직임. 과연 진짜 상어일까? 이것은 조작된 영상일까 실제일까. 영상은 존의 나긋한 보컬과 함께 끝을 맺는다.


Episode 2 – Fishing with John&Tom Waits

두 번째 에피소드는 시종일관 불평을 늘어놓는 톰 웨이츠와 함께 한다. 밀짚모자의 두 사람이 향한 곳은 자메이카. 금방이라도 가라앉을 것만 같은 고물선 위에서 두 사람이 던진 낚싯대는 포물선을 그린다. 그리고 다시 찾아온 기다림의 시간. 하지만 톰의 멀미가 평화를 깬다. 차라리 토를 하면 괜찮을 거라는 존의 말에 “그러기엔 너무 근사한 아침을 먹었어”라는 명대사를 남긴 톰 탓에 두 사람은 낚시대를 거두고 육지로 향한다. 그리곤 낚시는 뒷전인 듯 현지인들과 도박을 즐긴다.

날이 밝자 바다가 잠잠해졌다. 다시금 바다로 향한 톰과 존은 드디어 제대로 된 낚시를 즐긴다. 그리고 마침내 빨간퉁돔이 딸려 나온다. 그런데 이런, 담을 양동이가 없다. 하지만 우리의 톰 웨이츠, 이에 개의치 않고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그의 바지 안으로 밀어 넣는다. 두둑해진 그의 앞섶. 한 마리를 더 낚아 올린 존이 이 것도 바지에 넣을 거냐 묻자, 두 물고기가 싸우게 하고 싶지 않다는 톰.

사실 톰의 유쾌한 몇 마디만 빼면, 모든 일정을 마치고 돌아올 때까지 톰은 촬영과 별개로 이 여정을 그닥 즐기지 않았던 걸로 보인다. 존은 후의 인터뷰를 통해 아직까지 톰이 당시 왜 그렇게 화가 났는지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말을 남겼으며, 실제로 둘은 이로 인해 약간의 다툼까지 했고, 존은 촬영 후 톰이 그에게 2년 동안 연락을 하지 않았다고 전했다(후의 인터뷰에 따르면 톰의 심통 덕에 존은 결국 낚시가 아닌 어부들에게 생선을 사는 길을 택해야 했다고). 하지만 존의 기막힌 편집 덕분인지 톰의 투정이 한없이 귀엽게만 담겼다.

에피소드가 6개밖에 없는 탓에 더 이상의 설명은 멈추는 편이 좋을 듯하다. 대신 “Fishing with John”을 즐길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을 소개한다.


웃음이 끊이질 않는 나이트호크 시네마 Q&A 시간

Q&A Session

이 괴상한 다큐멘터리 시리즈가 도대체 어떻게 방송국을 통해 제작, 방영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끊이지 않았던 터인지, 2012년 존은 뉴욕 브루클린의 나이트호크 시네마(Nitehawk Cinema)에서 시리즈에 대해 관객과의 대담을 갖는다. 첫 방영 이후 무려 15년이 넘는 세월이 흘렀지만 객석은 만원이었다.

여섯 에피소드의 게스트가 어떻게 섭외됐는지로 설명을 시작한 존은 데니스 호퍼와 태국에서 전설의 대왕 오징어 사냥에 나서게 된 이야기, 윌렘 데포와 굶어 죽을 뻔한 얼음낚시 이야기, 촬영 이후 편집이 7년이나 걸린 이유 등 그간 이 컬트 시리즈를 보며 관객이 느꼈을 궁금증을 시원하게 긁어준다. 개중에도 시리즈의 또 다른 매력 포인트라 할 수 있는 롭 웹(Robb Webb)의 내레이션(거짓된 정보를 전하는 그의 진실된 중저음톤을 생각해 보라)에 관한 이야기는 팬들을 홀리기에 충분하다. 물론, 끊임없이 관객을 폭소케 하는 존의 입담 하나만으로 이 Q&A 세션 영상은 감상할 가치를 지닌다.

돈 얘기 역시 스스럼없이 꺼내는 솔직한 그의 모습은 아마 그가 음악과 영화, 그림을 넘나드는 예술 그 자체를 대하는 태도 그대로인 듯하다. “Fishing with John”의 여섯 에피소드를 모두 관람했다면, Q&A 영상으로 마무리해 주는 것이 인지상정. 그와의 질답 하나하나를 곱씹으며 에피소드를 회상해 보는 것도 굉장히 즐거울 것.

FWJ의 차기작이 “Robbing with John”이면 좋겠다는 존 루리

SpongeBob Squarepants – Hooky

“Fishing with John”의 컬트적 인기는 비단 기존 시리즈 방영에서 멈추지 않았다. 당시 시리즈가 꽤나 인기를 끌었던 탓인지 “스펀지밥 네모바지(SpongeBob Squarepants)” 시즌 1의 스무 번째 에피소드 “Hooky”에서 다시금 그 모습을 드러낸다. 바로 짐 자무쉬와의 에피소드가 콜라주로 삽입된 것인데, 바다 생물이 어떻게 낚싯바늘에 걸려 인간에게 끌려가는지를 스펀지밥과 뚱이의 천진난만한 호기심과 함께 그려냈다. 나이트호크 시네마 Q&A에서 이에 대한 뒷 이야기도 빼놓지 않았으니 놓치지 말고 확인해 볼 것.


Soundtrack Album

6화라는 짧은 구성으로 아쉬움을 남긴. “Fishing with John”의 여운은 뭐니 뭐니해도 그 사운드트랙으로 즐기는 것이 가장 옳아 보인다. 시리즈를 마스터 피스로 만든 여러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존 루리의 음악이니 말이다. 존이 직접 작곡한 시리즈의 사운드트랙은 후에 하나의 앨범으로 엮여 존 루리가 직접 설립한 레코드 레이블 ‘Strange & Beautiful Music’을 통해 발매됐다. 총 24 트랙, 42분 분량의 앨범은 “Life is so beautiful for some more than others… Every Breath… Everyday of our lives… Ahh… Fishing”이라는 나긋나긋한 내레이션의 인트로를 시작으로 카누를 타고 정글을 헤칠 때, 긴박하게 고기가 딸려 나올 때, 마을에서 현지인과 시간을 보낼 때 흐르던 존의 음악은 영상과 찰떡 같이 혹은 가장 부자연스럽게 어우러지며 시리즈를 하나의 아트 필름으로 탈바꿈하는 데 일조했다. 플루트과 트럼펫, 드럼 등 리저드 라운지의 재즈풍이 그대로 묻어나는 사운드는 평화롭고 신비하기 그지없다.

또한 24 트랙 중 두 곡은 물소리를 배경으로 톰 웨이츠가 취해 흥얼거리는 노래를 그대로 담아 마치 그들과 함께 지구 어딘가의 외진 물가에 탐험하는 상상을 하게 한다. 시리즈 영상의 마지막에는 항상 해당 앨범을 홍보하는 내레이션이 깔리는데, 롭 웹의 힘인지 존 루리의 힘인지 여느 PPL과 다르게 전혀 밉지 않고 정겹기만 하다. 시리즈를 추억하는 이에게도 혹은 이를 하나의 음악 작품으로 즐길 이에게도 탁월한 선택일 “Fishing with John”의 사운드트랙 앨범. 존 루리의 음악 세계에 빠지기 가장 좋은 떡밥임이 분명하다.


“Fishing with John”을 기억하는 많은 팬들 덕에 존은 다시 한번 시리즈를 이어간다. 다만 이번에는 낚시가 아닌 그림을 택했다. 이름하여 새 시리즈 “Painting with John”. 라임병을 앓으며 뮤지션으로서의 길을 중단해야 했던 그가 택한 또 하나의 예술적 자아가 바로 화가이기에 이는 지극히 자연스러운 선택일지 모르겠다. 비록 행위는 달라졌지만 이전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행위보다 존 루리, 그의 삶에 초점을 맞췄다. 존 역시 지나간 세월만큼 더욱 농후한 삶의 지혜를 거침없이 발설한다. 아무렴 어떠랴, 존과 함께라면 뭘 하든 즐겁지 않겠나. Anything with John…

John Lurie 공식 웹사이트
John Lurie 인스타그램 계정


이미지 출처 | Criterion Collection, Collider

RECOMMENDED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