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밈 회고록, ‘한국 인터넷 밈의 계보학’ 출간

SNS와 메신저로 디지털 세상에서 소통하는 지금, 현대인들은 이미지로 자신을 표현하는 데에 익숙해져 있다. 이 가운데 밈(meme), 혹은 짤을 빼놓고 소통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정도다. 밈이라는 것은 보통 문화적 아이디어, 상징 또는 관행을 전달하는 단위로, 글, 이나 말, 제스처, 의식 또는 모방 현상을 통해 사람들 사이에서 전달되곤 한다. 그렇다면 대체 밈은 어떻게 탄생했고, 왜 이런 이름이 붙여졌으며, 어떻게 오늘날에 이르게 된 것일까. 인터넷 밈을 매일 같이 쓰는 사람들조차 밈이 무엇인지, 제대로 답할 수 없을 것이다. 인터넷 밈의 열풍은 우리 시대의 어떤 면을 드러내고 있는 것일까. ‘밈친자’인 저자 김경수가 발행한 ‘한국 인터넷 밈의 계보학’을 통해 이러한 궁금증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한마디로, 영상미학의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 인터넷 밈 비평서다. 밈을 너무나 사랑한 나머지 도파민 중독자가 되어 밈 없이 살 수 없게 된 저자가, 밈의 스타일과 계보를 추적하며 자신이 속해있던 한국 인터넷 사회를 조망하는 유쾌한 회고록이기도 하다. 또한 인터넷 밈을 예술로 바라보며 파헤치고자 하는 덕질의 흔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인터넷 밈이라는 친숙한 소재를 통해 매클루언, 키틀러부터 벤야민, 하위징아, 지젝, 레노비치 등을 다루면서 매체철학과 시각 문화 전반에 대한 시야를 넓혀준다. 나아가 합성 소스가 탄생하는 순간부터 합성 프로그램을 통해 각종 ‘밈화’를 거치다가 죽은 밈이 되기까지 여러 인터넷 밈의 생로병사를 따라가며, 기저에 깔린 투쟁과 혐오라는 사회 문화적 맥락을 읽어낸다. 놀이문화이자 예술로서 인터넷 밈의 긍정적 미래를 모색하기 위해 밈의 과거를 되짚어보는 책인 것.

차례를 살펴보면, “피어나! 너 내 미미…밈이 되어라”부터, “밈이 될 거면 맞다이로 들어와 세상에 A.I가 너무 많아”까지, 심상치 않은 부제가 돋보인다. 이를 통해 밈의 탄생부터 이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 바이럴 되는 과정과 ‘죽은’ 밈이 되는 순간, 그리고 앞으로의 미래까지 들여다볼 수 있다.

특히나 저자가 강조하고 싶은 점은 밈을 통해 진정한 놀이문화로의 회귀다. 재미 지상주의가 만연한 커뮤니티 내에서 관심을 받기 위해서라면 혐오 발화조차 거리낌 없이 수반되었다. 인터넷 밈은 자극적인 요소로 점철되어 사회 곳곳으로 혐오를 실어 날랐다. 오늘날 과장과 희화화, 바이럴에 지배된 인터넷 밈 문화가 규칙을 상실한 채 무너지고 있다. 인터넷 밈은 현재 혐오의 불쏘시개로 사용되지만, 인터넷 밈이 가진 창조적 힘을 확장할 수 있다면 도리어 연대의 불씨를 피우는 불쏘시개가 될 수 있다는 희망찬 예언을 내놓고 있다.

현재 알라딘 북펀드 웹사이트를 통해 펀딩이 진행 중이며, 6월 6일 마감된다고. 17,100원 펀딩을 통해 ‘한국 인터넷 밈의 계보학’ 도서 1부와 초판 1쇄 후원자 명단 인쇄, 그리고 펀딩 달성 단계별 추가 마일리지가 적립된다고 하니 인터넷 문화를 세심하게 되짚어보고 싶다면 서두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인터넷 밈의 계보학’ 공식 펀딩 웹사이트

RECOMMENDED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