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과 인스타그램이 실제 테크노 신에 끼치는 영향력

유행은 돌고 돈다고 했던가. 최근 몇 년간 여러 하이패션 브랜드에서 선보인 레이브 컬처에 영감을 받은 컬렉션을 신호탄으로, 틱톡이 겨냥한 다음 트렌드 역시 테크노다. #techno, #ravetok, #technotok, #berlin 등의 해시태그에는 베를린에 살면서 점점 더 변화하는 옷차림, 테크노 음악에 맞추어 춤추는 법, 클럽의 레이버 유형 등 테크노와 관련된 영상이 쏟아지고 있다.

인스타그램 계정 @raveishere, @world_of_technoo 등에서도 다양한 테크노 릴스를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인스타그램을 통한 파티 공지는 레지던트 어드바이저(Resident Advisor)보다 더욱 보편적이다. 소셜 미디어 속 테크노가 실제 신(Scene)의 파티 문화, 패션, 춤, 음악까지 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 것이다.

스텔라 보씨(Stella Bossi)는 97.9만 명의 인스타그램 팔로워, 81.5만 명의 틱톡 팔로워를 지닌 인플루언서다. 금발의 생머리와 눈을 가린 선글라스, 무표정하고 말 없는 콘셉트를 지닌 그녀는 길거리와 슈퍼마켓 등 장소를 가리지 않고 격렬한 춤을 춘다. 혹은 자신의 몸통만 한 잔에 술을 마시거나 손바닥보다 큰 대마를 피우기도 한다. 2018년부터 웃음을 유발하는 과장된 영상으로 인기를 얻은 그녀는 유명세를 등에 업고서 디제이 커리어를 시작했으며 내년에는 월드 투어를 앞두고 있다.

지난 12월 7일, 베를린 페티시 클럽 킷캣(KitKat Klub)은 스텔라와 함께 수요일의 ‘심비오티카(Symbiotikka)’ 파티를 진행했다. 본래 킷캣은 입장과 동시에 외투와 휴대폰을 맡겨야 할 정도로 촬영을 엄격히 금지하며, 공식 포토그래퍼만이 동의를 구하고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번에는 디제이 덱의 스텔라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파티를 즐기는 주변 사람들의 얼굴이 여과 없이 드러나게 촬영하는 이례적인 모습을 보였다. 스텔라의 디제잉 실력은 차치하고, 함부로 신원이 드러나지 않고 자유를 보장받아야 할 클럽이 더 이상 안전하지 않게 된 것.

또한 스텔라와 한 무리의 헐벗은 사람들이 킷캣에서 함께 춤을 추는 짧은 영상을 담은 인스타그램 포스트는 55,000여 개의 ‘좋아요’를 받았다. 그러나 해당 게시물에 달린 “미안한데 이거 좀 기괴해”, “디제이야, 사이비 교주야?”, “만약 젠트리피케이션이 사람이라면 이런 모습일 듯”, “상업화 좀 그만해, 어떤 레이브도 이래서는 안 돼!”, “이게 이 신에 일어나는 일이라는 게 슬프네. 뭐가 됐든 그저 보여지기만 원하는 거. 정신 좀 차려!” 등의 댓글도 눈에 띈다. 이에 독일어 기반의 테크노 밈 계정 @tekknocringe는 스텔라에 대해 ‘Cringe(오글거린다)’라며 강도 높은 비판을 가하기도 했다.

테크노의 패션과 춤도 점차 정형화되는 모양새다. 베를린의 클럽웨어 브랜드 ‘NAKT Studio’는 패션을 넘어 독자적인 파티 레이블을 설립할 정도로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값싼 소재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가격, 자기복제적 디자인, ‘NAKT Army’라고 불리는 엘리트주의 마케팅 등으로 비즈니스 테크노라는 비판을 받으며, 그들 역시 ‘cringe’하다는 이미지를 피해갈 수 없었다. 80년대부터 시작된 레이브 컬처가 젊은 세대를 매혹했던 이유 중 하나는 원하는 대로 자신을 표현할 자유였다. 반면, 소셜 미디어를 통한 클럽웨어 브랜드의 공격적인 마케팅은 테크노 클럽에 가려면 마땅히 이러한 옷을 ‘입어야 한다’는 잘못된 당위성을 심어준다.

@techno.prinz TECHNO DANCE TUTORIAL Part : 1 footwork #summer #fürdich #foryou #fyp #foryoupage #tattoo #viral #tutorial #dance #techno #rave #technooutfit #vibe #party ♬ Roll ‘N Rock (Original Mix) – Jan Vercauteren & Jan Vercauteren

틱톡에서 80.7만의 팔로워를 거느린 ‘Techno.prinz’는 테크노 음악에 맞추어 스텝을 밟는 방법을 알려주는 튜토리얼을 업로드하여 11만 개의 ‘좋아요’를 받았다. 틱톡의 주요 연령대가 10대부터 20대 초반임을 감안할 때 그의 튜토리얼은 특히 팬데믹 이후로 테크노 문화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룰은 딱 하나뿐이야, 다른 사람의 공간을 침범하지 않는 것”이라는 첫 번째 댓글이 눈에 띈다.

프로듀서 역시 틱톡의 영향권을 피해 갈 수 없다. 이를 지나친 비약이라고 보기에는 이미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스포티파이(Spotify)가 ‘스포티파이 사운드’라는 용어를 만들어 낼 만큼 트랙 구조에 큰 영향을 끼쳤다. 한 트랙을 30초 이상 듣지 않으면 스트리밍 수익이 전혀 나지 않는 방식으로 인해 천천히 빌드업하는 트랙, 길이가 긴 트랙 등은 점차 시장에서 사라지고 있다.

틱톡에서 한번 바이럴을 타면 음원 수익이 쏠쏠하기 때문에 프로듀서는 배경음악으로 쓰이기에 알맞은 요소를 선택하게 된다. 이 트랙들은 주로 테크노보다는 140~150bpm의 하드스타일이나 개버에 가깝다. 베를린의 듀오 ‘Brutalismus 3000’가 지난해 릴리즈한 트랙을 살펴보자. 인트로의 비명소리와 사운드의 급격한 트랜지션은 틱톡에서 표정 연기나 립싱크를 곁들이거나 장면을 전환하기에 적합하다.

자기표현과 자의식과잉, 쿨함과 오글거림 사이를 오가는 소셜 미디어 속의 테크노는 앞으로 어떤 문화를 만들어 나가게 될 것인지 그 귀추를 주목하자.


이미지 출처 | Technode, @tekknocringe, @stellabossi, NAKT Facebook

RECOMMENDED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