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MNUM

매년 떠들썩한 공연으로 찾아왔던 반스 뮤지션 원티드(Vans Musicians Wanted)가 올해는 코로나19(COVID-19)의 영향으로, 이례적인 온라인 공연 형태로 개최되었다. 현실적으로 공연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창조적인 자기표현’을 지지하기 위해 새로운 디지털 플랫폼으로 진행된 2020 반스 뮤지션 원티드. 그 최종 우승 뮤지션은 다름 아닌 서울의 밴드 넘넘(NUMNUM)이다.

보컬에 이윤정, 기타리스트 이승혁, 베이시스트 이재로 간결한 3인조 구성을 꾸린 넘넘은 지금껏 두 장의 EP를 발매한 신성 밴드로 짧은 디스코그라피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해외의 숱한 공연과 페스티벌에 러브 콜을 받기 일쑤였다고. 또한 수많은 능력자가 참여한 2020년 반스 뮤지션 원티드에서 최종 우승을 거머쥐기까지 했다니, 넘넘이 지닌 에너지가 궁금해졌다. 넘넘과 나눈 대화, 하단에서 바로 만나보자.

간단한 소개를 부탁한다.

윤정: 밴드의 보컬을 맡은 이윤정이다.

이재: 베이스를 맡은 이재다.

승혁: 기타를 치고 있는 이승혁이다.

반스 뮤지션 원티드에 어떤 계기로 참여하게 된 건가?

이재: 일단 이 중에서는 내가 좀 에너지가 있는 편이라 직접 신청했다. 난 공연이나 경연이 있다고 하면 다 넣어보자고 제안하는 편이다.

윤정: 사실 많이 고민했다. 왜냐하면 경연에 나가봤자 떨어지는 상황이 벌어지고, 이런 게 에너지만 소비한다고 생각했거든. 경연을 주최하시는 분들의 성향 같은 걸 일단 알다 보니까 우리와 안 맞는다고 생각하는 건 못하겠다고 주로 내가 어필하는 편이다. 밴드 멤버들에게는 미안하다.

이재: 근데 나도 눈에 보이는 것을 막 제안하는 편이라서 밴드 멤버들의 필터가 필요하다.

윤정: 반스는 모두가 오케이해서 신청했는데, 결국 우승까지 했다.

반스 뮤지션 원티드를 간략하게 소개해줄 수 있나?

이재: 반스 뮤지션 원티드 캠페인은 재능 있는 뮤지션을 발굴하고, 전 세계를 대상으로 자신들의 음악을 소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시작된 프로그램이다. 올해부터 아시아 지역은 물론 미국, 캐나다, 멕시코, 중남미 그리고 유럽까지 전 세계를 대상으로 각국의 뮤지션이 자신들만의 독창적인 음악을 공유할 기회를 제공한다. 레이블이 없는 뮤지션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매년 진행하는 연례 이벤트다.

이재는 뮤지션 원티드 경연 영상 인터뷰에서 밴드 멤버가 각자 다른 집합체라고 이야기했다. 실제로 이윤정은 삐삐밴드, EE로 활동하기도 했고, 승혁 역시 밴드 레몬과 퍼피라디오 호스트로 활동했다. 그렇게 각자의 길을 걷다가 넘넘을 결성한 계기가 궁금한데.

윤정: 삐삐밴드 20주년 때 베이시스트로 이재가 함께하게 됐다. 이재의 연주가 탐났고, 이 녀석을 데리고 재밌는 걸 해봐야겠다 싶어서 섭외했지. 그리고 밴드의 전반적인 프로듀싱을 맡아줄 친구를 찾다가 EE 음악을 함께 작업한 적 있던 승혁을 섭외했다. 그게 2016년이니 벌써 4년 전이다.

이승혁은 넘넘밴드로 처음 기타를 잡은 것으로 알고 있다. 2년간 기타는 많이 늘었는가?

승혁: 사실 지금도 기타를 잘 못 친다. 나는 그냥 할 수 있는 것만 간단하게 하고, 코드 같은 경우도 기본적인 것만 잡을 줄 안다.

윤정: 승혁은 힙합 베이스로 작업했던 친구다. 나 또한 힙합을 좋아했고. 넘넘 밴드를 막 결성할 당시에는 장르적인 것을 불문하고 다 해보고 싶었다. 또 록, 일렉트로닉 등 다양한 장르를 잘 다루니까 밴드의 크래프트 맨으로 모든 것을 목수처럼 만들자는 기대감에 섭외했던 거다. 그런데 갑자기 기타를 치겠다고 아이디어를 내더라. 처음에는 극구 말렸는데, 본인이 절대 해야 한다고 고집했다.

그런 기타리스트를 데리고 결국은 우승을 거머쥐었다. 밴드 결성 2년 만에 이룬 쾌거라고 생각이 되는데, 소감은?

이재: 깜짝 놀랐다.

윤정: 난 지원자가 없었나 싶었다.

이재: 근데 살짝 아쉬웠던 게 관객을 두고 공연을 하지 못한 게 아쉽다. 공연이 어려워서 라이브 녹화로 경연을 하다 보니까 크게 실감하지 않은 상태에서 1등을 차지하게 된 것 같다.

승혁: 좋았다. 그냥 좋았다고 그래.

이재: 기분은 최고였지.

윤정: 관중이 있었다면 더 좋았겠다 싶었다. 그리고 우승한 날 반스 인스타그램 계정에 태그가 걸려서 올라오고, 하는 게 신기하고 얼떨떨했는데, 또 하루 지나니까 또 아무렇지 않게 평소 삶으로 돌아가더라. 그래도 흥분되는 기분을 넘넘을 통해 느끼니까 그게 행복하다. 고맙다.

승혁: 난 반스라는 평소 좋아하던 브랜드 경연에서 우승했다는 것에 의미를 둔 것 같다.

상황이 괜찮아지면 내년 하우스 오브 반스에서 공연할 수 있지 않을까 싶은데.

이재: 안 그래도 반스 관계자는 그렇게 말해주긴 했다.

반스 뮤지션 원티드에서 우승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윤정: 있는 그대로여서.

뮤지션 원티드 우승 혜택은 어떤 게 주어지나?

승혁: 펜더(Fender)의 커스텀 기타와 함께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스포티파이(Spotify)와 애플 뮤직(Apple Music)내 우리 음악의 플레이리스트가 업데이트된다고 한다.

윤정: 유니버설 뮤직 그룹(Universal Music Group)과의 뮤직비디오 또한 제작되고, 스핀업(Spinnup)을 통해 음원을 1년 동안 전 세계를 대상으로 무료로 배포할 수 있다고 하더라.

이재: 코로나19가 잠잠 해진다면 내년에 앤더슨 팩(Anderson Paak)과 함께 하우스 오브 반스 무대에서 공연을 할 기회가 주어진다고 들었다. 우리가 제일 기대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빨리 코로나가 종식되고 자유롭게 공연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소망한다.

윤정: 난 펜더 커스텀 기타가 우승 기념으로 남길만한 것 같아서 탐이 난다. 뮤지션 원티드 로고가 적혀있다고 하더라고. 그래서 밴드 맴버들에게 “이 누나가 25년을 활동했지만, 기념할 만한 게 하나도 없다”라고 이야기하면서 기타를 달라고 조르고 있다.

반스 뮤지션 원티드 아시아 경연에서 우승을 놓고 온라인으로 공연을 펼쳤다. 그 경연 영상이 온라인으로 공개되기도 했고. 온라인 경연의 여정은 어땠나?

이재: 일단 심사위원들이 탑5를 뽑았고, 다시 우승팀을 선정하기 위한 라이브 영상을 찍어야 했다. 이 영상을 다시 심사위원이 심사해서 우승을 가려내는 방식이었다.

반스 뮤지션 원티드 공연 영상에서 펼친 밴드의 연주에는 만족하는 편인가?

윤정: 관객이 없는 공연은 우리 에너지를 제대로 보여줄 수 없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러나 기대하고 즐거워하는 관객이 있다고 생각하고 연주했다. 그런 느낌을 반스에서 잘 캐치해 준 것 같아 고맙다.

참가 신청서를 넣고, 결국에는 우승한 과정들을 돌아보면 어떠한지?

이재: 침대 위에서 노트북으로 지원신청을 넣었던 그때가 되게 생각난다. 곡은 어떤 거로 넣을까 고민하기도 했고. 그리고 뮤지션들이 반스 뮤지션 원티드를 통해 움직이고 또 긍정적인 피드백이 오갈 수 있다는 점에서 좋게 생각했던 것 같다. 또 잘 알려지지 않은 뮤지션을 조금이라도 사람들에게 알리고 하는 반스의 목적이 우리와 딱 맞았던 것 같다. 운명이 아닐까? 하하.

윤정: 이재 덕분에 난 태어나서 처음으로 1등을 했다.

온라인 공연이라 아쉬웠던 한편으로 인터넷과 유튜브를 통해서 세계로 뻗어 나가니 더 좋지 않았나 싶은데.

이재: 맞다. 그리고 다른 팀들의 퍼포먼스를 보는 것도 너무 재밌었다. 음악들도 너무 흥미롭고, 다른 지역에서 이런 음악들을 전달하는구나 하면서 재밌게 감상했던 것 같다.

실제로 반스 뮤지션 원티드에 쟁쟁한 뮤지션이 대거로 참여했다. 이를 보며 느낀 점이 있나?

윤정: 요즘 시기의 뮤지션이라면 상황은 모두 비슷할 것 같다. 그래서 누가 우승하건 이유가 다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우리가 우승하게 되어 놀라웠지.

경연 팀 중에서 인상 깊었던 뮤지션이 있다면?

이재: 나는 일본 팀 니코니코 탄탄(NIKO NIKO TAN TAN)의 2인조 공연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드럼을 매우 잘 치더라. 저런 드러머가 함께하자면 같이 할 의향이 있다.

윤정: 나도 니코니코 탄탄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퍼포먼스가 재밌었다.

승혁: 나는 퍼플소울(PurpleSoul)이 기억에 남는다. 어두운 장소에 모여서 공연하는 것이 우탱 클랜(Wu-Tang Clan)을 보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앤더슨 팩부터 J.I.D, 그리고 보한 피닉스(Bohan Phoenix)까지 세계적인 뮤지션들이 직접 심사에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승혁: 사실 아는 사람이 앤더스 팩 밖에 없다. 그런데 그 사람하고 우리 이야길 하니까 뭔가 신기했다.

윤정: 일단 지켜봐 주고 있다는 사실이 기분 좋았다. 사실 우리의 음악을 누군가 감상하고 그 느낌을 표현을 해준다는 일 자체가 기분이 좋다. 근데 그걸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뮤지션이 해주는 거니까. 또 그런 기회가 흔치는 않으니까 더 기분이 좋지. 그래서 그 리액션 영상이 우릴 가장 기분 좋게 해줬던 것 같다. 또 코멘트 모두 우릴 기쁘게 했지. 그리고 1등을 전혀 기대하고 있지 않아서 우리를 칭하는 그들의 말 한마디가 더욱 와닿았다.

이재: 워낙에 피드백을 받지 못했던 환경에 있다가 처음 피드백을 받은 것이기도 했다.

이제 밴드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자 한다. 넘넘이라는 밴드명은 어떻게 지어진 것인가?

이재: 원래 밴드명을 베리베리라고 지을 생각이었다. 그런데 우리가 결성할 당시 동명의 아이돌 보이 그룹이 먼저 데뷔했다. 우리와 정반대의 핑크색 남성들이 먼저 데뷔한 바람에 밴드명을 바꿔야 했고, 베리베리의 한국어가 너무너무니까 너무너무를 간단히 줄여서 넘넘으로 밴드 활동을 시작하게 됐다.

윤정: 아기들이 맛있는 음식을 표현할 때 ‘numnum’이란 표현을 쓰기도 한다.

결성 당시에는 도연이라는 드러머까지 4인조 구성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다 첫 EP부터 도연이 탈퇴 후 3인조 구성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드러머가 없는 구성에 드럼머신이 이를 대체하고 있는데, 이러한 3인조 구성이 음악 작곡이나 공연 퍼포먼스에 아쉬움을 주진 않는가?

이재: 조금 큰 공연장에 가거나 페스티벌에서는 퍼포먼스 적으로 드러머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곡을 만들 때는 오히려 멤버가 적은 것이 더 좋은 것 같다.

승혁: 나도 사람이 한 명이라도 없는 게 더 좋은 것 같다. 멤버가 많아지면 곡이나 앨범을 제작하는데 의견이 갈리게 된다.

넘넘의 음악을 두고 포스트펑크라 소개하는 글을 본 적 있다.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윤정: 나 때문에 그런 느낌이 나는 것이 아닐까? 하하.

승혁: 잘 모르겠다. 우린 음악을 만들면서 그런 장르적인 설정을 따로 정하진 않았다. 그냥 막 가져다 붙이니까 그렇게 만들어진 것이라 생각한다.

윤정: 사실 이게 가장 문제인 것 같다고 생각한다. 장르적 의미는 보통 듣는 사람들이 설정할 뿐이고, 막상 만드는 사람들은 장르를 생각하고 만들진 않으니까. 넘넘의 음악 역시 우리끼리 편하게 얘기하면서 사운드를 추가하고 만든 거라서 장르에 큰 의미를 두지 않았던 편이지.

이재: 그냥 그때그때 만들고 싶은 것을 만드는 밴드라고 생각해줬으면 좋겠다.

여느 포스트펑크 음악이 어두움을 품고 있다면, 넘넘의 음악엔 명랑하고 밝은 무드가 존재하는 것 같았다. 이렇듯 장르적 관습을 자연스럽게 타파한 것이 넘넘 음악의 강점인 듯하다.

윤정: 자라면서 서로 다른 음악에서 영향을 받았을 것 같다. 나는 어릴 때 한창 듣던 게 조이디비전(Joy Division) 같은 포스트펑크 밴드의 음악이다 보니까 밴드로 그런 사운드를 발현시킨 것이 아닐까 싶다. 그런데 막상 내 에너지는 명랑함이니까 그게 섞인 것이고. 또 이재와 승혁이 명랑함을 컨트롤해주니까 밴드의 색깔이 된 것 같다.

넘넘 음악에 영감을 주는 것이 있다면?

이재: 앞서 말했듯 어떤 음악을 만들자는 얘기가 없다 보니까 그냥 그때그때 상황이 우리 음악의 영감이 되는 것 같다고 생각을 한다. 가사만 봐도 일상적인 이야기가 많이 등장하는 편이다. 그래서 우리의 평소 생각들이나 즉흥적일 수도 있는 내용이 주로 담기는 것 같다.

윤정: 오늘의 뉴스, 혹은 곡을 제작할 당시의 상황이나 사회적인 문제를 내가 일기처럼 쓰면 두 멤버가 음악으로 풀려고 하는 식이다.

넘넘의 음악에 의성어가 자주 등장하는 편인데, 이는 누구의 아이디어인가?

윤정: 제목의 의성어는 대부분 가제였다가 결국 정식 제목으로 확정되곤 한다. 작사는 주로 내가 하는 편인데, 이런 의성어가 제목인데도 주제가 생기겠지 하면서 작사를 이어가는 거다.

승혁: 생각하기 귀찮으니까 아무렇게나 빨리 끝내자는 마음이 컸다. 그래서 녹음 당시 별명처럼 지어진 예명이 타이틀로 정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재: 생각해보면 넘넘이라는 밴드 이름도 그렇게 지어진 것 같다.

매우 무기력하고 에너지가 없는 밴드 같은 인상이다. 밴드 활동에 가장 큰 원동력이라면?

윤정: 원초적인 힘? 뭔가 어떤 활동을 위한 노력이라던가 SNS에서 노력을 많이 하지 않는다. 그게 굉장히 부질없이 느껴진 적이 많았다. 그래서 그런 노력을 해봤자 우리 힘만 빠지는 것 같고, 결국 좋아할 사람들은 알아서 찾아 듣는다고 생각하거든. 한국 음악 신(Scene)이 작아서 아쉽긴 하지만, 어쨌든 국내에서 호응이 크지 않으니 해외에서라도 해보자는 생각을 하게 됐고, 오히려 해외에서 좋은 반응을 얻은 게 원동력이 되지 않았나 싶다. 즐거워하는 사람들 앞에서 공연하는 게 우리도 즐거우니까. 사실 국내 경연에서는 결과가 그리 좋지 않았다. 우리한테 관심도 별로 없고 그냥 못한다고 느끼는 것 같았다.

이재: 한 가지 아쉬웠던 점이라면, 막상 공연할 수 있는 기회가 잘 주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같이 할 만한 밴드도 별로 없고, 비슷한 부류가 형성되어 있다면 더 자연스럽게 공연도 자주 열었을 것 같은데, 우리와 비슷한 밴드가 없다보니까 공연을 자주 여는 일이 힘들었다.

이윤정은 한국 전자음악의 원로다. 요즘도 전자음악을 자주 찾아 듣나?

윤정: 안 듣는다. ‘나 때가 최고였어’라는 생각을 하고 있어서? 농담이고, 우리 세대에게 배신하고 싶지 않은 마음이 커서 요즘의 한국 전자음악을 잘 듣지 않는다. 한국에 전자음악이 막 태동하던 단계에서 활동하던 사람들은 자신이 개척한 음악이 어떻게 발전하는지 목격하고 심취하지 않나? 근데 나는 요즘 한국 전자음악을 들으며 우리 때보다 더 잘하고 있구나, 하면서 우리 세대에게 배신하는 생각을 가지게 될까봐 잘 안 찾아 듣는 것 같다. 물론 엄청나게 잘하는 분들이 많다는 사실은 알고 있다. 근데 난 원초적이며 날 것 같은 음악을 좋아하는 편이다. 원시적이고 원초적인 사람들이 시작했던 것들에선 실수가 귀에 들어오기도 하고 또 그런 것들이 재밌기도 하다. 혹시 추천해줄 음악이 있나?

이승혁이 참여한 헤메코와 초초(Hemeko & Cho Cho)의 “자신만의 꿈을 찾아 끝까지 가보는 거야”를 추천하고 싶은데 혹시 들어 봤는지? 원초적이며 아스트랄하기도 한데.

윤정: 아 노즈 스튜디오(Nose Studio)랑 같이 한 음악인가? 미안하지만 그것도 안 들어봤다.

이승혁은 헤메코와 초초의 트랙에 어떻게 참여하게 됐는가?

승혁: 노즈 스튜디오하고는 원래 잘 알고 지냈다. 대뜸 그냥 만들고 싶은 음악이 있다고 연락이 와서 참여하게 됐지. 난 그저 최대한 그들이 원하는 음악과 똑같이 제작해준 것뿐이다.

최근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에서 진행한 이윤정의 인터뷰를 읽어봤다. 이윤정은 밴드가 그리워서 넘넘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한국 밴드 신에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지?

윤정: 밴드가 너무 없어서. 국내로 한정하면 밴드라는 영역 안에 너무 부드럽고 예쁜 밴드만 존재하는 것 같았다. 그리고 나도 잘 할 수 있는데, 하는 생각이 들었지. 그러다가 이재의 베이스 플레잉을 보며 밴드에 자신감을 더 얻게 됐다. 다만 그냥 밴드 형식이면 진부할 것 같아서 그냥 우리가 좋아하는 것을 다 섞어서 마음에 드는 걸 한번 해보고자 하는 마음으로 밴드 활동을 하고 있다.

넘넘을 통해 미디 음악이나 DAW로 제작된 전자음악을 발매할 생각이 있는가?

윤정: 얼마든지 가망성은 있지. 최첨단을 항상 달려야 하니까.

이재: 안 그래도 얼마 전에 아이맥을 구매했다. 이걸로 뭐든 만들지 않을까?

윤정: 장르를 따지지 않는 밴드가 이럴 때 좋은 것 같다. 어떤 형태든 뮤지션들은 오리지널리티를 가지고 활동하려 한다. 그러나 장르를 따지지 않으면 일렉트로닉을 제작할 수도 있고, 펑크를 제작할 수도 있고, 록, 발라드, 트로트 뭐든 탄생시킬 수 있다고 본다. 그런 장르적인 개념을 우린 아예 염두에 두지 않고 작업을 하니까 넘넘은 사운드에 관해서는 굉장히 열려있는 상태인 것 같다.

이윤정은 스스로 노래를 못한다고 말했다. 멤버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이재: 그냥 가지고 있는 것을 잘 표현한다면 멋진 보컬이라고 생각한다.

승혁: 뭐 그렇게 가창력이 뛰어난 가수는 아니니까… 그러나 가수라고 생각한다기보다 밴드의 프론트맨으로서는 한국에서 최고라고 느낀다.

윤정: 승혁도 기타리스트 넘버 원이다.

이재: 그건 좀…

윤정: 사실 노래를 못한다는 말은 내가 그런 게 아니고 남들이 한 말이다. 나는 항상 굉장히 잘한다고 생각했다.

과거에 같이 활동했던 삐삐밴드 멤버나 EE로 함께하는 이현준에게 넘넘의 음악을 들려준 적이 있나? 그들은 넘넘 음악을 듣고 어떤 피드백을 주는지.

윤정: 그냥 미소짓는다. 내가 무엇을 하든, 날 아직 애기라고 생각하니까.

승혁: 개인적으로 박현준과는 넘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본 적이 한 번도 없는 거 같다.

윤정: 근데 이현준은 “째깍째깍”이랑 “간다” 뮤직비디오를 만들어줬다. 그리고 말을 많이 하지는 않지만, 의견이나 조언 정도는 가끔 준다.

이재: 우리도 그런 조언을 되게 필요로 할 때가 있다. 그럴 때 이현준의 조언이나 의견이 많이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윤정: 우리가 못 보는 것을 봐주는 것 같기도 하고.

반스 뮤지션 원티드 우승 뒤, 밴드의 향후 행보를 알려줄 수 있나?

윤정: 밴드의 미래를 이야기하는 것은 진짜 무서운 질문인 것 같다. 계획을 잡을 수가 없는 상황이고, 기대했던 것들이 다 무산되고 있다. 앞날을 알 수 없는 상황들이니, 이 상황이 최대한 빨리 종식되어서, 많은 공연 활동이 이어졌으면 한다. 사실은 이민 가자고 이야기까지 했다.

이재: 솔깃했었다.

윤정: 그냥 우리 음악 들어줄 사람 있는 곳으로 가면 좋지 않겠냐, 이런 말을 한 적 있다. 캐나다 작은 마을만 가도 사람들이 막 소리 지르면서 난리를 치니까. 처음 듣는 노랜데 떼창도 불러주고, 그런 게 너무 신기한 경험이었다. 우리 음악에 환호하는 관객을 만나는 것도 되게 행운이기 때문에, 그런 상황이 빨리 왔으면 좋겠어요. 제일 좋은 건 한국 팬이 많아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음악을 널리 알리고 싶어하는 수많은 재능 있는 뮤지션들에게 한 마디 한다면?

이재: 뮤지션 원티드는 내년에도 계속된다. 레이블이 없는 뮤지션이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으니 자신만의 창의적인 음악으로 꼭 도전해 보았으면 좋겠다.

NUMNUM 인스타그램 계정
반스 뮤지션 원티드 웹사이트


에디터│황선웅
포토그래퍼│유지민

RECOMMENDED POST